일단 씻고 나가자

23.10.16 본문

Study/닥치는 대로 주워 담기

23.10.16

일단 씻고 나가자 2023. 10. 17. 00:13

2023. 10. 16 월요일

 

- [Effective Java] 람다의 메서드 참조란? 각각의 사용 경우?

: 인스턴스::메서드 명 으로 처리하는 것이 메서드 참조 방식이며,

() -> 메서드 명 으로 처리하는 것이 람다 방식이다.

통상의 경우 메서드 참조 방식이 직관성과 명확성 측면에서 이점이 있으나,

클래스 명이 길 경우 오히려 이를 헤칠 수 있으므로 이때는 람다를 권장한다.

 

 

- DevOps? 탄생 배경? 하는 일?

: 일종의 개발자의 종류. 운영을 담당한다. (운영팀)

기존 개발의 경우, 개발자들이 모든 기능을 개발하고 운영에게 기능 및 유의할 점을 인수인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지만, Agile 프로세스가 도입되며 운영과 개발의 순서 경계가 모호해지게 되었다. 이럴 경우 에러 발생 시마다 운영팀은 개발팀을 탓하고, 개발팀은 따라서 방어적이고 소극적인 release를 할 수밖에 없으며, 빠른 서비스를 제공받아야 하는 고객들에게 문제가 생긴다.

또한 기존의 어떤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운영방식과 다르게, 많은 트래픽을 버텨낼 시스템 (시간에 따라 서버 개수를 늘리는 스케일 업)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단 전통적으로 운영팀은 개발자의 커리어와 거리가 있었기 때문에 개발자는 운영팀으로 가는 것을 꺼려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구글에서 DevOps라는 팀을 만들어 운영과 운영 시스템 효율화/자동화 프로젝트를 목표로 개발의 니즈를 채워주게 함.

 

DevOps의 목표는 release system의 자동화, 코드 리뷰 및 테스트 자동화, 서비스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스케일 업 등이 있다. Agile 방식에선 해당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에 전문 분야가 되어가기 있으며, 구글에선 SRE(Site Reliability Engineering)이라 부르기도 한다.

 

 

- 린 스타트업이란? Agile, DevOps와의 관계?

: 고객의 pain point를 모든 담당자가 찾고 창의적인 방식을 통한 기술적 해결 방법을 찾는, 극심한 불확실성 속에서 서비스를 만드는 스타트업. Eric Ries가 창시했다.

제품 또는 서비스의 개발 행위를 학습이라고 하며, 최소 기능을 빠르게 런칭하고 AB 테스트와 빅데이터(로그)를 통해 고객의 반응을 수치화하여 반응에 따라 개선 및 수정. 이러한 빠른 주기를 통해 극심한 불확실성에 대응한다.

 

, 린 스타트업 정신을 통해 Agile 방식으로 개발하고, 운영을 DevOps를 통해 진행한다.

'Study > 닥치는 대로 주워 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10.18  (0) 2023.10.18
23.10.17  (0) 2023.10.18
23.10.12  (0) 2023.10.13
23.10.11  (0) 2023.10.12
23.10.10  (0) 2023.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