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씻고 나가자

AI, '비밀번호의 종말' 앞당기나 본문

Life/뉴스 스크랩

AI, '비밀번호의 종말' 앞당기나

일단 씻고 나가자 2023. 4. 12. 04:17

http://www.ekore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6362 

 

AI, '비밀번호의 종말' 앞당기나 - 이코리아

[이코리아] AI가 타인의 비밀번호 해독에 악용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의 사이버 보안 회사 홈 시큐리티 히어로즈는 최근 AI가 비밀번호를 얼마나 빨리 해독할 수 있는지 연구한 결

www.ekoreanews.co.kr

 

요약

  • 미국의 사이버 보안 회사 홈 시큐리티 히어로즈는 연구원들이 GAN 기반 비밀번호 생성기인 ‘PassGAN’으로 비밀번호 해독이 얼마나 빠를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 일반적으로 1분 이내에 비밀번호의 51%를 해독할 수 있었다.
  • 다만 비밀번호의 길이와 대문자, 소문자, 특수문자가 혼합의 정도에 따라 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숫자 11개의 암호는 즉시 해독하는 데 비해, 대문자, 소문자, 숫자가 혼합된 11자의 함호는 4년의 시간이 걸린다고 밝혔다.
  • 지난해 10월 글래스고 대학에서는 AI와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컴퓨터 키보드, ATM 기기 등에 입력한 비밀번호를 해독하는 ‘써모시큐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암호의 86%를 20초 이내에 해독하는 성능을 보여주었다.
  • 비밀번호 노출 및 해독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최근 각광받는 보안수단은 ‘패스키’, ‘종단 간 암호화(end-to-end encryption)’ 기술 등이 있다. 패스키는 서버에 비밀번호 정보를 남기지 않는 기술이며, 종단 간 암호화 기술은 메세지의 전송부터 수신까지 모든 과정에서 암호화 기술을 유지하는 정보 전송 방식이다.

메모

  • GAN : 원 데이터의 확률분포를 추정하여 인공신경망을 구성하는 비지도학습의 일종. 생성적 적대 신경망.